Markdown 사용법
마크다운(Markdown)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언어로 2004년 존그루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쉽게 쓰고 읽을 수 있으며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마크다운이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이유는 깃헙(https://github.com) 덕분이다. 깃헙의 저장소Repository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md는 깃헙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마크다운 문서였다. 마크다운을 통해서 설치방법, 소스코드 설명, 이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강점이 부각되면서 점점 여러 곳으로 퍼져가게 된다. - ihoneymon 님 Github 발췌 -
제목입니다. 1
제목입니다. 2
제목입니다. 3
제목입니다. 4
제목입니다. 5
제목입니다. 6
Aenean lacinia bibendum nulla sed consectetur. Morbi leo risus, porta ac consectetur ac, vestibulum at eros. Cras mattis consectetur purus sit amet fermentum. Nulla vitae elit libero, a pharetra augue. Curabitur blandit tempus porttitor. Donec sed odio dui. Cras mattis consectetur purus sit amet fermentum.
Nullam quis risus eget urna mollis ornare vel eu leo. Cras mattis consectetur purus sit amet fermentum. Duis mollis, est non commodo luctus, nisi erat porttitor ligula, eget lacinia odio sem nec elit. Vivamus sagittis lacus vel augue laoreet rutrum faucibus dolor auctor.
Unordered List
- List Item
- Longer List Item
- Nested List Item
- Nested Item
- List Item
Ordered List
- List Item
- Longer List Item
- Nested OL Item
- Another Nested Item
- List Item
Definition List
- 커피
- 레드와인
- 우유
- 화이트와인
우리가 흔하게 접하는 웹에서 사용되는 에디터(네이버, 다음, 구글 등)이 대부분 이지웍 에디터에 속하며 기본적으로 HTML을 이용하여 스타일을 적용하여 문장을 꾸미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래서 하루패드와 같은 마크다운 에디터의 View 영역의 내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하면 대체적으로 View영역에서 보이는 그대로 복사되는 편이다. 다만, 붙여넣기 이후에 문장들을 수정하려고 할 떄 문제가 되는데, 이는 스타일이 포함된 태그가 수정과정에서 변형되면서 전체적인 영향을 끼치는 탓이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쉽지 않고… 워드프레스의 경우에는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포스트를 HTML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결론은, 복사해서 붙여넣기하면 가급적이면 본문은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본인 게시글에 Facebook 댓글Plugin 을 붙이고자 한다면 아래 코드를 markdown 파일 하단에 넣어주세요.
<div class="fb-comments" data-href="https://macontents.github.io/md파일명" data-width="700" data-numposts="10"></div>